
주체112(2023)년 11월 6일 《기사》
한줄기의 약수를 놓고도
주체36(1947)년 9월말 어느날이였다.
그무렵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에 이어 강원도에 대한 현지지도의 길을 이어가시던
일군은 기쁨을 금할수 없었다.
그날이 바로 추석날이였던것만큼 조국에 개선하신 첫날부터 어느 하루도 편히 쉬지 못하신
당시 그곳에는 그리 크지 않은 휴양소가 자리잡고있었다.
위대한
휴양소의 일군으로부터 운영실태를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료해하시던
이윽고 민족의 유산인 석왕사를 잘 보존관리할데 대한 귀중한 가르치심을 주시던
약수터에 이르시여 몸소 약수맛을 보신
그러시고는 휴양소일군에게 이 약수가 어떤 병에 좋은것 같은가고 다정히 물으시였다.
그는 머뭇거리며 말씀을 드리지 못하였다.
약수가 어떤 병에 좋은지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였던것이다.
어버이주석님께서는 약수가 좋다고 해서 그저 마시지 말아야 한다고, 사람들의 속병도 여러가지인데 정확히 알고 마셔야 한다고 하시며 약수를 분석해보고 어떤 병에 좋은지 연구해보아야 하겠다고, 약수가 어떤 병에 효과가 있는지 정확히 알고 마셔야지 옛날 사람들처럼 석왕사에 구경왔던 길에 한번 먹어보자는 식으로 마셔서는 안된다고 가르쳐주시였다.
흐르는 한줄기의 약수를 놓고도 인민들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게 하시려는
이날 오랜 시간에 걸쳐 휴양소관리운영에서 나서는 문제들을 가르쳐주신
그후
그 과정에 여러개의 약수터를 더 찾아냈으며 경치좋은 이곳에는 료양소가 꾸려져 석왕사일대는 명승지로만이 아니라 이름난 료양지로 훌륭히 전변되게 되였다.